Career Development
Revisiting Steve Job's 2005 Stanford Commencement Speech
When I first watched the commencement video in 2005, I barely understood what he is saying. When I read the translated script in Korean, I got it. To my memory, it was a very inspiring speech that makes people to want to live their own lives.
Now, I am "reading" Steve Job's biography through Audible.com. It led me to find some photos of his early days. While searching, I came across his iconic Standford speech again.
The 4th Career Leadership Camp
TITLE: The 4th Career Leadership Camp.
PRESENTERS: Hyung Joon Yoon,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Brian Hutchison, University of Missouri-St.Louis, Jung Hyun Byun,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Heeseok Lee, Younique Consulting, and Hyunjoo Choi, Powermind Consulting
TRAINING LOCATION: Korea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and S Company's Training Facility, Chungju-si, Chungcheongbuk-do, South Korea.
말하는대로 - 유재석
한국 TV 프로그램중에 내가 유일하게 보는 것은 '무한도전'이다. 유재석의 개인적인 이야기를 바탕으로 이적과 함께 만든 '말하는대로'는 나의 연구주제이자 인생주제인 human agency와 아주 딱 들어맞는다. 지금까지 존재하는 어떤 음악도 이처럼 나의 주제가 같이 느껴지는 것은 없었다.
Albert Bandura는 Human agency, 즉 자신의 삶의 본질과 삶의 질을 바꾸는데 영향을 미치는 능력에는 4가지 요소가 있다고 하는데, 유재석의 "말하는대로"에는 그 4가지 요소가 고스란히 녹아들어 있다.
"말하는대로", "생각한대로" "마음먹은대로"라는 대목은 목적의식 (intentionality)을 뜻하며,
"내일 뭐하지?" "내일 뭘할지 꿈꾸게 했지"라는 의문은 미래고찰 (forethought)이다.
About the CDF Instructor: Dr. Hyung Joon Yoon
About the Instructor: Dr. Hyung Joon Yoon from I-Pang Fu on Vimeo.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 CDF class, visit http://gcdf.drmtree.com
Daily Career Video Clips
Check out this website for video clips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http://www.careervideoclips.us/
I just accidently discovered this site with a full of career related videos. I use Google Alerts to get updates about my interests. In my today's inbox, I had my advisor's (Dr. William Rothwell) video clip on career planning and succession management.
http://www.careervideoclips.us/interesting-william-rothwell-ph-d-career-...
Re: 미국에서 공부시키면 좋다고? 교민도 머리 아프다
아래의 중앙일보 기사를 읽고 씁쓸한 마음에 글을 남긴다.
http://news.joinsmsn.com/article/385/5009385.html?ctg=1300
한국에서 많은 학부모들이 이제는 초등학교, 심지어 유치원 때부터 명문대 입학을 목표로 아이들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하는데, 이 얼마나 큰 사회적인 낭비이며, 젊은 청춘들에게 얼마나 가혹한 처사인가? 초등학교에 들어서는 순간 그 어린 아이들이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몇 개 씩의 학원을 다니고, 중, 고등학교로 진학을 하며 숨이 막혀가는 현실. 명문대에 우수한 성적으로 입학했다고 치자. 그들의 행복이 보장되는가? 너무나도 많은 대학생들이 방황하는 것을 보아오면서 "이건 아니다!"라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고, 그 느낌이 어쩌면 지금의 나를 경력개발이라는 분야로 이끌었을지 모른다.
An example of the Use of Career Readiness Assessment and Training (Arkansas State)
Arkansas State is implenting ACT's WorkKeys assessment statewide. The certificate has three levels (Gold, Silver, and Bronze). It reminded me of UK's National Vocational Qualification (NVQ). However, the skills that Arkansas State is measuring are three: reading for information, applied mathematics, and locating information.
For more detailed information, I highly recommend the follwoing video to any workforce development related people: http://www.state.ar.us/esd/Programs/CRC/CRCVideo.htm
Hope, Belief, and Optimism from Bill Gate's Conversation
The following sentence was cited from Bill Gates' 'Think Week' — 'World's coolest suggestion box'.
"Before Think Week, there was 'hope but there wasn't belief' that the team's plans would fly, he says. 'People in my group are optimistic now.'"
직장의 경력개발 센터화
기사 제목: 쉬고 싶다는 직원을 붙잡아라.
출처: 세계일보
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2&gid=358369...
오늘 위의 "쉬고 싶다는 직원을 붙잡아라"라는 기사를 보았다. 사실, 2007년, 내가 회사를 그만 둔 것도 '대리' 때 였다. 내가 회사를 그만둔 것은 회사 생활에 대한 회의보다는 나의 꿈을 향한 발걸음이었다. 사실, 한 편으로 직장에서의 '성공'도 생각해보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아마도 내가 원하던 '경력개발' 관련된 일을 할 수 있는 기회, 컨설팅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보장되었다면 조금 더 회사에 남아 있었을 지 모른다. 그리고는 회사에서 보내주는 유학을 꿈꾸어 볼 수도 있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도 하게 된다.